Block Chain

<블록체인의 원리> - 3.비트코인의 원리(1)

Dev_to_freedom 2022. 5. 27. 23:37

https://youtu.be/onS562oSq2w

3. 비트코인의 원리 (1)

기존의 전자금융거래 시스템

  • 디지털 데이터의 특징 : 복사와 조작이 쉽다
  • 화폐 및 증권의 필요조건 : 위변조가 어려워야 한다.

→ "따라서 전자금융거래는 자격 있는 금융기관이 금융 감독 기관의 감시를 받아야 이루어질 수 있다"

 

 

비트코인은 신뢰할 수 있는 기관이 없이도 가능한 금융 시스템을 만듦!

  1. 전자 서명을 통해 신원 인증을 없앰
  2. '이중 지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합의 알고리즘

 

 

1. 전자서명 방식으로 신원 인증 과정을 제거

 

트랜잭션(Transaction)

: 하나의 금융거래를 의미. 자산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단위.

자산의 소유권을 가진 사람만이 트랜잭션을 발생시킬 수 있어야 함

 → 전자서명을 사용 (by 공개 키 암호화 방식)

공개 키 암호화 방식

  cf) 해시 함수

       - 임의의 데이터를 일정한 문자열로 바꿔주는 단방향 함수

       - input을 통해 output을 도출해내기는 쉽지만, output으로 input을 찾기는 매우 어려움(거의 불가능)

해시함수

-> 보낸 사람이 비밀키로 암호화한 전자 서명을, 공개 키로 복호화해서 같은 해시 값이 나오는지 확인. 즉, '보낸 사람이 비밀 키를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

비트코인의 전자서명 방식

 

 

 

2. '이중 지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합의 알고리즘

 

전자서명만으로는 '한 사람이 여러 개의 서로 모순되는 트랜잭션들을 발생시키는 것'을 막지 못한다.

→ 어떤 트랜잭션을 맞는 것으로 인정(합의)할 것인가? : 합의 알고리즘

 

BFT(PBFT) : 비잔틴 장군 문제를 해결 (서로 메시지를 주고 받는 방식)

비잔틴 장군 문제

배신자의 수와 전체 노드 수에 따라 합의를 위해 필요한 메시지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통신 비용이 증가) & 과반 이상이 시스템에서 나가면 중단될 수 있음(노드의 자유로운 참여가 제한됨)

 

개방형 네트워크에 적합한 새로운 합의 알고리즘이 필요!!

 

다음 글에서 계속..

 

 

 

📌 본 컨텐츠는 유튜브 채널 <재윤tv>님의 영상 '블록체인의 원리 - 3. 비트코인의 원리(1)'을 참고하여 제작되었습니다.